공지사항

  • 알림마당
  • 공지사항
일본뇌염 경보발령
  • 작성일 : 2008-08-07
  • 조회수 : 1248
  • 작성자 : 관리자 ☎ --
 

 일본뇌염 경보 발령


질병관리본부(본부장 : 이종구)는 일본뇌염 유행예측조사결과 일본뇌염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전체 모기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일부 지역(전북)에서 50% 이상임을 확인(‘08.7.24)함에 따라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하였다.


질병관리본부는 특히 전북지역에서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서 모기에 물리지 않도록 의복이나 야외활동에 주의를 기울이고, 수해지역에서는 주변 환경의 위생관리를 철저히 해줄 것을 당부하였다.


 ○ 또한, 전북지역을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일본뇌염 매개모기 채집비율이 경보수준에 이르지 않았으며, 일본뇌염 매개모기 감시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중이라고 밝혔다.

<붙임>

□ 일본뇌염 유행예측 사업소개

 ○ 질병관리본부는 일본뇌염 유행예측을 위하여 일본뇌염의 매개 인 ‘작은빨간집모기’의 발생을 전국 단위로 감시하고 있으며, 전북지역에서 채집된 모기 중 매개모기가 500마리 이상으로 전체 모기밀도의 50% 이상임을 확인함에 따라(‘08.07.24) 일본뇌염 경보를 발령함


연도별 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발령일, 환자 발생현황

연도

‘03

‘04

‘05

‘06

‘07

‘08

주의보발령일

5.23

5.8

4.26

4.14

4.20

4.18

경보발령일

8.27

8.6

8.4

7.21

7.26

7.25

환자발생수(명)

1

-

6

-

7

-


< 일본뇌염 주의보 및 경보발령 기준>

○ 주의보 : 매개모기가 최초로 채집된 시점을 기해 발령

○ 경  보 : 아래 4가지 조건중 하나라도 충족되는 경우

  - 특정지역에서 1일 저녁 채집된 모기 중 일본뇌염 매개 모기가 500마리 이상으로 전체 모기밀도의 50% 이상일 때,

  - 특정지역에서의 돼지 항체 양성률이 50% 이상인 경우 또는 돼지혈청에서 IgM(초기항체)이 검출되는 경우,

  - 채집된 매개모기로부터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분리된 경우

  - 일본뇌염 환자가 발생했을 경우

□ 2007 우리나라 일본뇌염 유행예측사업 결과

 ○ 전국적인 조사를 통해서 일본뇌염매개모기 출현시기의 지역별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, 그 결과 제주지역을 시작으로 경남지역을 거쳐서 서서히 북상하는 경향을 알 수 있음

 ○ 일본뇌염 모기가 전체모기의 50% 이상을 차지하는 지역은 제주, 경남, 부산, 전북, 충북 지역등으로 경기나 강원은 50%를 초과하지 않았음

2007년 작은빨간집모기 발생 분포도

2007년도 모기발생 분포도

 

목록
  • 담당부서 : 보건행정과 
  • 담당자 : 김소연
  • 연락처 : 051-610-5601
  • 최종수정일 : 2008-08-07
만족도 영역
페이지의 내용이나 사용 편의성에 만족하시나요?